골밀도 검사 방법 비용 수치 결과를 탐구해보겠습니다. 이 내용을 전체적으로 읽고 나면 골밀도 검사 방법 비용 수치 결과를 알아두시는 것에 좋을 것입니다. 골밀도 검사 방법 비용 수치 결과의 정보가 필요하다면 끝까지 읽어주세요. 아래의 게시글로 알아봅시다.
골밀도 검사 정보
골밀도 검사는 신체를 구성하고 지지하는 뼈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방법이다. 골밀도 검사를 통해 골다공증 여부를 진단하고 뼈가 부러질(골절) 위험이 얼마나 높은 지를 판단한다. 골밀도 검사는 보통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법을 사용하는데 특별한 준비 없이 간단하게 진단할 수 있다. 진단 결과 골밀도 수치가 낮게 나온다면 약을 처방받아 복용하거나 식단 조절, 운동요법 등을 통해 골밀도를 개선할 수 있다.
골밀도 검사 필요한 사람
골밀도는 뼛속 미네랄의 밀도라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이다. 뼛속에 미네랄이 많을수록 골밀도가 높아지고 골밀도가 높을수록 뼈는 더 튼튼해진다. 당연히 부러질 위험도 낮아지겠죠. 그러나 나이가 많이 들거나 특정한 질병이 있거나 특별한 약을 복용한다든지 하면 골밀도가 낮아질 위험이 늘어나다. 매일 섭취하는 음식이나 생활습관도 골밀도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아래에 열거하는 사람은 골절이나 골다공증의 위험성이 다른 사람보다 높기 때문에 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
- 65세 이상 여성이나 70세 이상 남성
- 나이가 젊은데도 불구하고 가벼운 사고에도 뼈가 부러지는 경험을 한 사람
- 폐경 전인데도 장기간 생리를 하지 않는 여성
- 남성인 경우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낮게 나온 사람
- 오랫동안 간, 신장 진환 또는 류마티스성 관절염을 앓고 있는 사람
- 갑상선 또는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 셀리악 병처럼 영양분을 제대로 흡수할 수 없는 질병을 가진 사람
- 다발성 골수증을 앓고 있는 사람
- 코르티코스테로이드나 프레드니손 등 특별한 약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
이 외에도 체질량(BMI) 지수가 18.5 미만, 비외상성 골절 또는 가족력이 있는 경우, 수술로 인한 폐경 또는 40세 이전에 자연폐경을 경험한 여성은 뼈 골절이나 골다공증의 위험성이 높으므로 이 검사가 권장된다. 골밀도 검사로 뼈의 건강상태를 확인한다.
골밀도 검사 방법
골밀도 검사에도 몇 가지 종류가 있다. 그러나 의학적으로 권장되고 인정돼 검사방법은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법이다. 보통 이 진단장비를 사용하여 주로 엉덩이 고관절 및 아래쪽 허리 척추를 검사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 목 척추 등 다른 부위를 검사하기도 한다. 고관절 및 아랫배 쪽 허리 척추를 주로 검사하는 이유는 골밀도가 낮은 사람들이 이 부분의 골절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고 이 부분의 골절이 아주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이 부분이 골절되면 회복에 시간이 오래 걸리며 이후 정상적인 활동이 어려울 수도 있다. 또 이 부분의 골밀도가 다른 부위의 골밀도를 말해주는 바로미터가 되기도 한다. 고관절이나 허리 쪽 척추 검사가 불가능한 경우 요골을 대신 검사하기도 하지만 정확도는 척추나 고관절 부위보다 낮습니다.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법 외에도 정량적 초음파 검사(QUS), 정량적 초음파 단층촬영 등이 방법이 있지만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법이 보다 정확한다.
골밀도 검사를 위해서 특별히 준비해야 할 사항은 없다. 칼슘 및 비타민D 보충제를 복용하는 경우 의사가 이 약의 복용을 며칠간 중단할 것을 요청하기도 한다. 골밀도 장비는 소량의 X-레이만 이용해서 뼈를 촬영하기 때문에 방사능 피폭량은 아주 적다. 검사할 때 단추나 지퍼 등이 있는 옷은 벗어야 한다. 보통 속옷만 남기고 옷을 모두 벗고 병원에서 지급하는 가운으로 갈아입습니다. 검사대에 누우면 장비가 위에서 움직이며 필요한 촬영을 한다. 검사는 15분 미만이면 끝나다.
골밀도 검사 결과 수치
골밀도 검사 결과는 검사하는 장비마다 약간씩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같은 병원을 방문해서 같은 기계로 검사한 결과를 놓고 변화를 비교해보는 것이 좋다. 또 정확하게 같은 부위를 촬영해서 비교해야지 촬영 때마다 다른 부위를 촬영하면 같은 기계를 사용하더라도 검사 결과가 차이가 날 수 있다. 다만 일부 병원의 경우 장비의 정확도가 떨어져 신뢰할 수 없는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 골밀도 검사 결과 정상범위가 아닌 경우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을 먹거나 식이 운동요법을 한 후 1~2년에 한 번씩 추적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골밀도 검사 결과는 젊고 건강한 사람의 뼈와 비교하여 분석한다. 골밀도 검사가 100% 정확한 것은 아니지만 향후 골절이 일어날 위험성을 예측해주는 중요한 지표이다. 골밀도 검사는 T-스코어로 결과가 나타나다. 세계 보건기구(WHO)에서는 T-스코어 결과를 토대로 골밀도를 모두 4가지 단계로 나누고 있다. 아래 표는 WHO에서 규정한 골밀도 검사 결과 규정 표이다.
세계 보건기구(WHO) 골밀도 검사 결과 분류
1. 정상 : 건강한 젊은이의 골밀도 표준편차 1 이하 ( -1 ≤ T 스코어 ≤ 1)
2. 골감소증 : 건강한 젊은이의 골밀도 표준편차 1~2.5 사이 ( -2.5 ≤ T 스코어 ≤ -1)
3. 골다공증 : 건강한 젊은이의 골밀도 표준편차 2.5 이하 ( T 스코어 ≤ -2.5)
4. 심각한 골다공증 : 건강한 젊은이 골밀도 표준편차 2.5 이하이면서 골절 경험이 있는 경우
골감소증의 경우 아직 심각한 수준은 아니지만 골절의 위험이 올라가고 있으며 향후 골다공증 진단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골감소증 진단을 받은 경우 골밀도 감소 현상을 줄이고 골절의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 칼슘, 비타민D 보충제 섭취를 고려하거나 식이요법과 골밀도 강화를 위한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골다공증 진단을 받은 경우 의사와 상의 후 골다공증 약을 처방받아 복용하거나 식습관 및 생활습관을 바꾸고 운동요법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골밀도 검사 비용
골다공증 검사는 장비가 갖춰진 병원이나 의원에서 실시가 가능하다. 골밀도 검사는 의료보험 급여 대상이다. 다만 의료보험 적용에는 제한이 있다. 위 #1에서 설명한 골밀도 검사가 필요한 사람이나 의사가 필요한 경우라고 인정한 경우에 한해서 보험적용이 되기 때문에 검사 전 의사와 상담을 먼저 하는 것이 좋다. 골밀도 검사 결과 추적검사를 실시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도 보험이 적용되는 조건이 있다. 즉 첫 진단할 때 요건을 충족하면 의료보험 적용이 되며 추적검사의 경우 검사 결과에 따라 1년 혹은 2년에 한 번 적용이 된다. 의료보험을 적용하면 비용은 총비용의 20%를 개인이 부담한다. 검사받는 기관에 따라서 검사비가 달라지는데 의료보험 적용 시 개인 지급 비용은 1만 ~ 4만 원 정도이다.
이런 게시물도 함께 읽어보시는 거 어때요?
남성호르몬 및 테스토스테론을 높게 유지하는 방법
남성호르몬 및 테스토스테론을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문서를 모두 읽으면 남성호르몬 및 테스토스테론을 알게 되실 것입니다. 남성호르몬 및 테스토스테론의 정보가 필요하다면 끝까지
ruru231.tistory.com
관상동맥 조영술 막힌 심장혈관을 확인하는 검사 간단 정리
관상동맥 조영술을 소개하겠습니다. 이 포스트를 모두 읽으시면 관상동맥 조영술을 이해할 것입니다. 관상동맥 조영술의 정보가 필요하시면 끝까지 읽어주세요. 이제 아래에서 모두 공유해드
ruru231.tistory.com
골밀도 검사 방법 비용 수치 결과를 알려드렸습니다. 전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정보도 필요하시다면 상단의 글들을 참고해주세요.
'건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 실핏줄 터짐 및 눈출혈, 결막하 출혈 총정리 (0) | 2022.12.06 |
---|---|
중성지방 정상범위 및 낮추는 방법 (0) | 2022.12.01 |
남성호르몬 및 테스토스테론을 높게 유지하는 방법 (0) | 2022.11.28 |
매독 증상 원인 진단 치료 예방 총정리 (0) | 2022.11.27 |
클라미디아 증상 감염 위험이 어느정도인지 확인하세요 (0) | 2022.11.26 |
댓글